본문 바로가기

개발13

랜더링 원리 Flutter를 처음 접하면 공홈에 제일 먼저 나오는 내용이지만 이부분에 대한 내용이 지금와서 다시보니 이해가 안됬던 부분이라던가 그냥 무심코 지나갔던 부분들이 다시 머리에 들어오게 되어 정리를 할겸 주제를 정해 글을 쓰게됬다. 우선 가장 중요한 플러터의 랜더링 원리의 기초개념인 widget tree, element tree, render tree에 대해 알아보자. ComponentElement, 다른 요소의 호스트 RenderObjectElement, 레이아웃 또는 페인트 단계에 참여하는 요소 위젯 트리 (Widget Tree): 위젯 트리는 Flutter 앱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위젯은 Flutter UI의 기본 구성 단위로, 화면에 무엇을 표시할지를 정의합니다 (예: 텍스트, 버튼, 이미지 등). .. 2024. 1. 13.
null-aware spread operator (...?) dart공홈을 차분히 다시 정독중인데 역시 공홈 정독은 중요하다. 또 처음보는 것이 튀어나왔는데 너무나 유용해보인다. ...? const a = [ ...[1, 2], null, ]; 위 결과는 [1, 2, null]이며 끝에 null이 아닌 [1, 2]가 필요하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var list = [ ...[1, 2], ...?newList, ]; 위젯쪽에서 위젯리스트 뿌려줄때 정말 유용하게 사용될 듯 하다. 2023. 12. 31.
Records & Pattern dart 3.0이었나 업데이트 됬던 문법 내용으로 알고는 있었지만 제대로 정리해본 적이 없어서 개념정리 용도로 한번 정리해보려고 글을 쓰게 됬다. Records Records are an anonymous, immutable, aggregate type. Like other collection types, they let you bundle multiple objects into a single object. Unlike other collection types, records are fixed-sized, heterogeneous, and typed. 공홈의 소개글이다. 위의 글 내용대로 다른 컬렉션유형과 마찬가지로 여러 개체를 단일 개체로 묶을 수 있다. 차이점은 다른 컬렉션 유형과 달리 레코드는 크.. 2023. 12. 31.
[상태관리#6]그래서...어떤 상태관리를 쓸거야? 상태관리를 한번씩 다 써본 이유는 사실을 고백하자면, 공부하고자하는 이유도 분명 있었지만 새로운 프로젝트를 들어갈때 어떤 상태관리를 써야할지 고민을 하고 있어서였다. 모든 상태관리를 다 써본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GetX -> 대규모 프로젝트로 갈수록 난잡해지는 코드와 패키지 자체의 무거움을 생각하면 무조건 Fail 2.BloC -> UI와 비지니스로직의 깔끔한 분리는 무척 좋지만 많은 양의 boilerplate Code.... 3.Provider -> 업그레이드 버전인 riverpod이 있는데 굳이? Fail 4.RiverPod -> 무난함 5.mobX -> 개취지만 code generate로 프로젝트를 얼룩덜룩하게 만들고싶지 않아서...Fail 결론은 Bloc와 riverpod이 남았고, 진행할 .. 2023. 11. 22.